728x90
반응형

전체 글 159

세종시 캠퍼스 구축 사업

[출처: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2022년 8월 행복도시에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9월에 는 제2집무실의 기능·규모 및 입지를 검토하기 위한 기획 연구용역에 착수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는 등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해 2023년 예산에 토지매입비 일부 350억원 을 확보하고 국회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 제정안이 2023년 1 월 국회 운영위원회에 제출되어 운영위원회에 상정되는 등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대통령 제2집무실, 국회세종의사당 건립에 따라 입법 행정 기능과 연계 한 미디어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2022년 5월부터 7월까지 언론 방송사 대상으로 입주 수요조사를 실시했..

공공행정영역 AI 이용 현황과 이슈

[출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글로벌 이슈 브리프] 공공기관에서 AI 활용하는 분야는 일반공공 서비스, 경제문제, 보건 등이다. 공공기관에서 주로 활용하는 AI 활용기술은 기계학습과 자동화된 추론이다. 부처별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행정안전부는 전자정부, 외국인, 레그테크, 공직사회 중소벤처기업부는 스타트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복지부는 의료기기, 장애인, 의약품, 유전자, 어린이집, 위안부 등이다.

영화 파묘 보러가도 될지 AI에게 물어보았다.

영화 '파묘'는 다양한 이유로 추천하는 영화입니다. 그 이유를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1. 미스테리와 긴장감: 이 영화는 미스테리한 분위기와 긴장감이 넘치는 스토리로 관객을 사로잡습니다. 무당 화림과 봉길의 미국에서 시작하는 이야기와 함께, 한국인의 본능과 문화를 다루는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2. 문화적 측면: 영화는 풍수지리, 조상, 그리고 자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상덕과 화림이 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전통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볼 수 있습니다. 3. 명품 배우들의 연기: 최민식, 유해진, 김고은, 이도현 등의 명품 배우들의 연기는 영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4. 극적인 시나리오: 영화는 묘의 문제를 해결하고 넘어서 일제강점기의 이야기까지 담고 있습니다...

◆ 일상 2024.03.06

ChatGPT와의 인터뷰 결과를 논문으로 발행

여행업에서 AI로 인한 고용 효과에 관해 ChatGPT와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한 논문을 발견하고 놀랐다. 상위 등급 저널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렇게 되면 앞으로 연구가 쉬워지는 것인가?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추론한 내용을 실제 연구내용으로 써도 될지 잘 모르겠다. 사람의 선입견이나 측정도구의 오류 등, 인터뷰의 장점을 보완해줄 수도 있겠지만,인공지능이 만능은 아닐텐데...앞으로 AI 관련해서 펼쳐질 일들이 흥미롭다.